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채록채록

[Linux\Debian] Django2-startapp, model, admin 본문

Linux

[Linux\Debian] Django2-startapp, model, admin

김책은 2024. 4. 3. 00:05

참고한 블로그에서 하란대로 하고 가상환경도 만들고 거기에 django까지 깔고 startproject 명령어를 쳤는데 저런 난리부르스의 오류가 떴다.
그래서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니 가상환경의 파이썬과 django의 버전 호환 문제였다.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였어서 그냥 django를 업데이트 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했던 것은, 저런 난리부르스의 오류에서
sys.exit(execute_from_command_line())
self.fetch_command(subcommand).run_from_argv(self.argv)
부분이 너무 반가웠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오늘 풀스택서비스네트워킹에서 argv에 대해서 짤막하게 배웠기 때문이다. 만약 그것을 배우지 않았다면 저런 오류난리부르스도 에이 이거 뭐야 이러고 넘어갔을텐데 역시 아는만큼 보이고, 모르면 두렵고 알면 즐겁다는 말이 참말이다.


https://blog.naver.com/arracher328/223098329402

 

20230510_django_01

왤케 이것저것 다해보고 있냐면 오늘까지 docker container간 정보를 주고받는 과제를 해야하는데 도대체 ...

blog.naver.com

뭐 1년전쯤까지만 해도 이러고 있었는데 조금은 성장한 것 같아 행복하고 감사하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너무 멀다.

작년에 마이크로서비스프로그래밍 들으면서 뭣도 모르고 시작했던 장고. 이 다음화면으로 넘어가는 방법도, 아니 이 화면이 왜 나타나는지도 몰랐는데ㅠㅠ 이걸 1년만에 다시 본다..


startapp blog. 이건 react에서 CRA같은거인듯 했다. 명령어 하나로 디렉토리가 저렇게 만들어지는게 비슷해보였기 때문이다.
이래서 하나 제대로 배워두는게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하라는대로 models.py에 class를 만들었다. nodeJs에서 mongoose를 썼던 것이 떠올랐다. 그때도 method를 쓰기도하면서 이런거 왜 써야하는거지, model이 도대체 뭐길래 만들어주어야 하는거지 생각했었다. 만약 django를 먼저 하고 했더라면 mongoose를 익히는 것이 더 수월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migration을 해주어야한다고 한다. migration은 처음 듣는 단어라서 챗지피티에게 물어보니 데이터베이스의모델 변경사항을 추적하는데 사용된다고 한다.

추가 학습이 필요할 것 같다.

또, 현재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로는 sqlite3(django default)를 쓰는데 일단 이것으로 익히고 배포까지 한 사이클을 돌고,
나중에 mysql을 쓰는 것으로도 리팩토링할 예정이다. (scrum? 막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