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eloping (7)
채록채록

Scheduling다음에 돌아갈 애를 선택하는 과정long-term schedulingjob schedulerdisk → memory할때 자원의 한계(memory overflow)로 인하여 다올릴수가 없을 때 어떤 프로세스만 memory에 올릴것인지short-term schedulingcpu schedulingready queue에 있는 애들 중 누구를 선택해서 cpu를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인지cpu burst : 하나의 process의 폭풍 연산ing하는 시간i/o burst : 하나의 process의 i/o요청하고 기다리는 시간synchronous : 하나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시작된다.cpu-bound processcpu burst time > i/o burst time언제 끝나도 상관없을..

Heavy-weight인 processprocess는 많은 것들을 포함할 수 밖에 없다.address space(code, data), OS resources, accounting info, hardware execution state(PC, SP, registers…)새로운 process를 만드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all of data struction must be allocated and initializedmemory 많이 잡아먹는다.Inter Process Communication도 비싸다.OS를 통해서 가기 때문에 kernel 개입이 크다. (Shared memory, memory-queue 둘 다)overhead of system calls = cpu utilization이 떨어진다.그..

ProgramDisk에 저장되어있는 binary code 덩어리실행 가능한 파일아직 memory에는 올라가있지 않다.실행될 수 있지만 아직 실행되지 않은 상태will be executed by the kernel정적(static)Processprogram이 실행돼서 memory에 load된 상태by loader실행파일인 program이 bus를 타고 memory 구조에 맞게끔 올라간 상태basic unit of execution and schedulingprocess ID(PID)라는 고윳값을 가진다.table에 기록되어있다.동적(dynamic)cpu와 연결되어 변화를 주고받는 entity/instance(객체)encapsulation of the flow of control in a program문맥P..

abstract conceptshardware 위에 operating system, 그 위에 user and other system programsos 안에 user interfaces : gui, batch, clisystem calls : os위에서 동작하는 appliation이 hardware 자원을 쓸 수 있도록(=사용자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무언가를 interface로 만든 것os의 핵심 기능 kernel(service) : program execution(loader), i/o operations, file systems,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accounting, error detection, protection and security..

ComputerAbstract conceptServer Computer, Personal Computer, Embedded Computer최소 cpu, memory 하드웨어 위에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모든 것Computer system organizationcomputer hardware 위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 자원의 전권을 가진 resource allocator, 그 위에 os가 제공하는 여러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Fmscpu, memory, i/o device가 i/o device controller와 bus로 연결되어 있다.bu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Topology) : 한번에 한쌍만 통신cpu의 명령에 의해 모든 것이 수행된다.심플할수록 효율이..

241113에 AWS Cloud Clubs 교내 정기모임이 있었다. 동아리 이름은 AWS이지만 2학기때는 멤버가 돌아가면서 각자 발표하고 싶은 주제를 자유롭게 정하여 발표하기로 했기 때문에 이번주 모임의 발표자 학우님들은 AI와 Terraform을 주제로 발표했다.정말 소규모의 발표여도 확실히 지식과 경험을 공유받는 일은 언제나 의미가 있다. 그래서 발표를 들으며 궁금했고 시도해보고 싶다 생각했던 내용을 블로그에 기록해두려고 한다. 세션1 : 전공자답게 생성형 AI 사용하기 이걸 엔지니어링이라고도 해도 되나 싶은 생각이 있었던 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었는데 발표를 들으며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현장실습을 하고 있는 회사에서도 챗지피티를 쓸 일이 굉장히 많은데 (임베디드라 검색해서 나오는 자료가 많이 없다..

PS C:\chaen\M5ers> pre-commit -Vpre-commit 4.0.1PS C:\chaen\M5ers> pre-commit sample-config > .pre-commit-config.yamlPS C:\chaen\M5ers> ls 디렉터리: C:\chaen\M5ersMode LastWriteTime Length Name---- ------------- ------ -----a---- 24-10-17(목) 오후 5:27 656 .pre-commit-config.yamlPS C:\chaen\M5ers> pre-commit runAn error has occurred: 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