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9/18 (3)
채록채록

EBS와 EFS를 공부하며 volume, file system, root, mount, directory의 개념도 확실히 다질 수 있었다. 현장실습을 하면서 요즘 가장 많이 치고 있는 명령어가 'mount -o remount, rw /'인데, 그러면서도 이거에 대해 깊게 이해하려고 하지 않았던 내 자신을 반성해본다ㅎEBS (Elastic Block Store) Volume인스턴스가 실행 중인 동안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 네트워크 usb 스틱인스턴스가 종료된 후에도 데이터를 지속할 수 있다.인스턴스 재생성 하고 EBS 볼륨을 마운트하면 되는 것.CCP 레벨 : 하나의 EBS는 하나의 EC2 인스턴스에만 마운트 가능특정한 AZ(가용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snapshot을 이용하면 다른 AZ로 볼..

막간을 이용한 네트워크 복습을 할 수 있어 유익했다. 또, 단순히 AWS ui를 학습하는 것같은.. 수준이 아니라 좀 더 '컴퓨팅'에 집중하여 공부를 하니 CS 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갈 수 있는 것 같다. Private vs Public IP (IPv4)기본적으로 EC2 기기는 내부 AWS 네트워크에선 사설 IP를 사용하고, WWW에선 공용 ip를 사용한다.EC2 기기에 ssh를 할 땐 사설 ip를 쓸 수 없다. VPN을 쓰지 않는 이상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VPN이 없다면 공용 ip만 사용할 수 있다.공용 ip를 사용하면 공용망(인터넷)에서 AWS에 엑세스 할 수 있다.기기가 사설 네트워크에 있을 때, NAT + proxy역할을 할 internet gateway 를 통해 WWW..

서비스형 인프라스터럭쳐(Iaas)이지, 하나의 서비스가 아니다. 클라우드는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컴퓨팅을 대여할 수 있고 EC2가 그 예시일 뿐! 조코딩 해커톤 때 잘 몰랐어서 ai를 위해서 어떤 인스턴스를 빌려야할지, gpu는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엄청 난관이었는데.. 이런 사이트를 참고했더라면 좀 더 방법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었을 것 같다. instances.vantage.sh 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시험에서는 워크로드에 적합한게 어떤 타입의 인스턴스인지 물어볼 것이다.Amazon EC2가상머신을 ec2에서 대여한다. = ec2 인스턴스데이터를 가상 드라이브 또는 ebs 볼륨에 저장한다일래스틱 로드밸런서로 로드 분산asg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한다.→ 원하는 대로 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