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채록채록

[AWSCloudClubs] ECS, ERS, EKS, CI/CD, Jenkins, Github Action 본문

Cloud Computing

[AWSCloudClubs] ECS, ERS, EKS, CI/CD, Jenkins, Github Action

김책은 2024. 4. 10. 10:32

잘 안써봐서 용어들조차 낯설었는데 이번 핸즈온을 통해 용어도 확실히 정리하게 되어서 좋았다. 이런 용어들은 특히 꼭 github action, CI/CD를 내가 직접 써야만 등장하는게 아니라 ACC Student Community Day의 세션같은 곳에서도 계속 등장해서 간접경험을 쌓으려면 이런 용어들을 알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ACC Student Community Day에서 CI/CD 세션 들으면서 노션에 필기한 내용..ㅎ 아직 다는 못알아들었었음..

AWS ECS : Elastic Container Service

  1.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배포/관리/규모조정할 수 있는 완전관리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1. 애플리케이션을 시작, 모니터링 및 규모 조정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다른 지원 AWS 서비스와 자동으로 통합
      1. 이게 제일 신기했다..
    2. 사용자 지정 크기 조정 및 용량 규칙 생성과 같은 시스템 작업을 수행하고 애플리케이션 로그 및 원격 분석의 데이터를 관찰하고 쿼리
      1. 로그 남기는게 정말 중요하구나를 계속 깨닫게 된다.
  2. 개발자가 Docker(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플랫폼)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종속성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든다. 이러한 컨테이너 이미지는 호스트 os에서 실행되고, docker engine이라는 도구를 사용해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데…
  3. AWS ECS는 이러한 컨테이너 이미지를 실행/관리하고 다른 AWS 서비스와 자동으로 통합해주는 것.

비슷한 예로, ERS가 있다.

AWS ERS : Elastic Container Registry

  1. 애플리케이션 이미지/아티팩트를 안정적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뛰어난 성능 호스팅을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2. docker hub와 비슷하긴한데 자동암호화/엑세스 제어 등 이런저런게 더 좋다고 한다.
  3. 지금 당장 개인 수준에선 쓸 일이 없고 훗날 회사가서 아는 척 하기 좋을듯 ㅎㅎ

AWS EKS : Elastic Kubernetes Service

  1. AWS 클라우드/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Kubernetes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
  2. AWS Fargate : 서버리스 컨테이너 배포
  3. AWS EC2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Jenkins

  1. 컴파일러 오류 검출, 자동화 테스트 수행, 정적 코드 분석으로 인한 코딩 규약 준수 확인, 프로파일링 툴을 이용한 성능 변화 감시, 결합 테스트 환경에 대한 배포 작업
    1. 코딩 규약 준수 확인도 해주는 줄은 몰랐다. 이런 알고리즘은 어떻게 짜는걸까?…
    2. 프로파일링 툴은 잘 모르겠다. 나중에 더 자세히 알아봐야할 것 같다.

Github Action

  1. Workflows : 하나 이상의 작업을 실행하는 구성 가능한 자동화 프로세스
  2. Events : workflow를 트리거하는 사용자 지정 이벤트
  3. Jobs : workflow에서 하나의 처리 단위
    1. Steps : 작업 구성단위. Job은 하나 이상의 Step으로 구성
  4. Actions : 자주 반복되는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 공유 메커니즘
    1. <세이노의 가르침>에서도 강조되었던 반복되는 작업을 어떻게 줄여서 효율성을 높일지 계속 공부하고 노력하라는 말이 생각났다.
  5. Runners : 트리거될 때 workflow를 실행하는 서버
    1. 단순히 서버라는 단어로만 뭉뚱그려 써왔는데 이번에 풀스택서비스네트워킹에서 zmq도 배우면서 worker와 server도 구분해서 배우고 runner도 배우게 되었다. 적절한 상황에서 이 용어들을 알맞게 쓰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